양조장 폐수로 부터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미생물 연료 전지(microbial fuel cell)


미래의 폐기물 관리(waste management)는 단순한 처리의 측면에서 벗어나 그 의미가 확대될 전망이다. 즉 폐기물의 관리는 ① 폐기물 발생량의 감소, ② 발생된 폐기물의 최대 이용, ③ 현재와 미래의 환경오염 및 인류 건강 위해의 위험을 최소화하는 폐기물 관리 정책 집행 등을 목표로 수행될 것이다.

호주 퀸즐랜드대학(UQ; University of Queensland)의 AWMC(Advanced Wastewater Management Centre) 책임 교수인 Jurg Keller 역시 폐수 관리가 단순히 폐기물을 처리하는 것에서 물, 에너지, 영양분 등과 같은 유용한 자원을 회수 및 전환시키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2006년 미국 미생물 학술원(American Academy of Microbiology)에서 발표된 보고서는 향후 30~50년 이내에 전 세계가 에너지 위기를 겪을 것이며 화석 연료의 연소와 이로 인한 이산화탄소와 연소 오염 물질의 배출이 지구 기후 변화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에너지 부족과 환경 파괴의 두 가지 재앙을 막기 위한 수단이 명확하지는 않지만, 미생물 에너지 전환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일익을 담당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보고서는 상대적으로 새로운 연구 분야인 박테리아를 이용하여 음식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미생물 연료 전지(microbial fuel cell)에 주목했다.(GTB2006110863)

AWMC 소속 Korneel Rabaey 박사는 양조장 폐수(brewery wastewater)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배양하여 미생물 연료 전지를 만드는 기술을 연구하여 전기를 생산하는데 성공했다. 이 과정에서 청정수(clean water)와 비오염성의 재생 가능한 이산화탄소가 부가적으로 얻어져 학계 및 산업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

Rabaey 박사는 에너지와 수자원 공급이 향후 몇 십 년 이내에 직면할 가장 큰 도전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따라서 우리는 연료의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다양화할 것인지, 에너지와 수자원 이용(water usage)을 어떻게 억제할 것인지 터득할 필요가 있다고 Rabaey 박사는 강조했다.

Keller 교수는 이러한 것을 실행할 수 있는 기술이 지원받아야 마땅하며, 이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퀸즐랜드 정부의 결정이 학계와 산업계에 매우 중요한 동기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벨기에 켄트대학(University of Ghent)과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하며 130만 달러($, 1$=930.70원)의 지원을 받게 된다. 음식, 음료 및 제조업 등에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고 중간 정도 크기 공정에 적용하기 위하여 작게 고안된 이 기술은 특허 출원 중이다. Keller 교수는 연구팀이 10리터(litre) 기본형으로 우수한 공정성과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호주는 전례 없는 가뭄으로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를 도전 과제 중 하나로 부상시켰다. Rabaey 박사의 연구는 폐기물에서 청정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다는 점, 폐수를 처리하여 수자원 부족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뛰어난 기술로 평가된다. 과학이 발달할수록 다다익선의 아이디어가 진가를 발휘한다. 또 폐기물 관리의 진보된 의미 역시 점검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야겠다.


KISTI『글로벌동향브리핑(GTB)』

171 유기 광전변환 소재/바이오센서 산학 워크샵 공동 진행
170 박막 태양전지 시장전망
» 양조장 폐수로 부터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미생물 연료 전지(microbial fuel cell)
168 미생물 연료전지에 이용되는 탄소 나노튜브
167 전기 생산을 증대시키는 새로운 미생물 연료전지
166 미생물연료전지의 연구동향
165 <일본시장조사보고서> 2008년판 태양전지 부재 시장의 현상과 장래전망(일본어판)
164 표면 변형을 통한 미생물 연료 전지의 향상
163 새로운 고효율 색소증감 태양전지 개발
162 [신기술소개] 쇼와전공 등 3社, 대면적 고성능 플라스틱 태양전지 소자 개발
161 [지금 해외에서는]텐덤형 태양전지 개발
160 고효율 고분자태양전지 길 '연다'
159 프라운호퍼 연구소, 다중접합 태양전지의 경이적 광전변환효율 39.7% 달성
158 제1회 염료감응태양전지(DSSC) 산업체 워크숍 및 간담회’
157 美 과학자들 실리콘 이용, 태양 전지 효율성 높이는 방법 개발
156 차세대 저가형 신재생 에너지 신기원 열어
155 값싸고 만들기 쉬운 플라스틱 태양전지를 개발하는 데 성공
154 NIMS, BN/Si 헤테로 다이오드 태양전지의 시작(試作)에 성공!
153 경기도와 ‘플렉트로닉스-KPF社’ 투자협약체결
152 컬러입는 태양전지 뜨거운 각축전

LOGIN

SEARCH

MENU NAV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