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과학자들 실리콘 이용, 태양 전지 효율성 높이는 방법 개발
뉴시스 | 기사입력 2008.10.06 11:38


[시카고=로이터/뉴시스]
미 과학자들이 실리콘을 이용해 태양 전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냈다.
과학전문지 '네이처 머티리얼스'(Nature Materials)에 5일 실린 내용을 보면 일리노이대학교 어버너 섐페인캠퍼스의 존 로저스 박사는 실리콘을 아주 미세한 조각으로 자른 후 다른 재질의 표면에 주입해 이를 태양열 에너지로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로저스는 "우리는 플라스틱 등에 실리콘웨이퍼를 주입할 수 있을 만큼 실리콘웨이퍼를 얇게 자를 수 있다"고 말하면서 "이는 건축물의 유리창에도 사용될 수 있다"고 전했다.

로저스는 "이 같은 방법은 건물에서도 쉽게 태양전지를 이용해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태양전지는 태양에너지를 전기로 전환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이는 특히 높은 유가와 기후 변화 현상으로 고통받고 있는 현 세대에 각광 받고 있는 전력 생산법이다.

일본의 '샤프'(Sharp Corp)사나 독일의 '큐-셀'(Q-Cells)사는 현재 아주 얇은 필름 태양 전지를 제작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태양 전지는 효과적으로 태양에너지를 전기로 전환시켜주지 못했다.

로저스는 "단일 크리스탈 실리콘을 실리콘웨이퍼의 10분의1에서 100분의1 크기로 자른 후 이를 다른 물질에 주입한다"고 전했다.

그는 "이 같은 방법을 이용할 경우 실리콘이 주입된 표면은 마치 잉크 패드와 같이 변하고 이를 프린트해 사용하고자 하는 물체의 표면에 부착한다"고 설명했다. "이후 마지막 단계에서 전기와 이 표면을 연결하면 이 과정에서 전력이 생산된다"고 전했다.

로저스는 앞으로 이 같은 기술이 카펫이나 차량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서유정기자 [email protected]
< 저작권자ⓒ '한국언론 뉴스허브'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15 [고객소식] 국산 태양전지업체, 광변환효율 10% 벽 넘었다 (텔리오솔라코리아)
14 [고객소식] 효율 3배 높은 차세대 태양전지 우리가 만든다 (한양대 이정호교수님)
13 컬러입는 태양전지 뜨거운 각축전
» 美 과학자들 실리콘 이용, 태양 전지 효율성 높이는 방법 개발
11 프라운호퍼 연구소, 다중접합 태양전지의 경이적 광전변환효율 39.7% 달성
10 새로운 고효율 색소증감 태양전지 개발
9 <일본시장조사보고서> 2008년판 태양전지 부재 시장의 현상과 장래전망(일본어판)
8 박막 태양전지 시장전망
7 햇빛→전기 광합성 원리 이용 고효율 태양전지 염료 개발
6 스티커처럼 붙이는 필름형 태양전지
5 2007 한일 광과학 심포지엄 개최 안내
4 태양전지 시장에서 비 Si계가 급속히 확대
3 The 1st KIST Forum on Pioneers in New Concept Solar Cells
2 적은 에너지로 제작 가능한 색소증감형 태양전지 개발 사례
1 탄소나노튜브로 태양전지 효율을 2배 향상

LOGIN

SEARCH

MENU NAV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