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강정구 교수 "고효율 수소저장ㆍ리튬전지 등에 활용"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차세대 반도체 소자의 소재는 물론 에너지 저장체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탄소나노튜브의 지름과 벽의 수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KAIST 신소재공학과(40) 강정구 교수팀은 11일 질소 플라스마를 이용해 비활성인 비금속 코어와 활성인 금속 셸을 가진 '드러난 코어/셸(exposed core/shell)' 구조의 촉매를 합성, 나노튜브의 지름과 벽의 수를 동시에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지난 10월 화학분야 국제학술지 '앙게반테 케미(Angewante Chemie)' 인터넷판에 공개됐으며 12월 인쇄판 표지논문으로 게재될 예정이다.
탄소나노튜브를 수소 및 리튬이온, 이산화탄소 저장 등에 활용하기 위한 기술이 널리 연구되고 있으나 나노튜브의 지름과 벽의 수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지 못해 고용량 에너지 저장체로 활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현재 나노튜브는 기판에 활성 금속 촉매를 배열하고 플라스마를 이용해 금속 촉매에 탄소를 흡착시키는 방법으로 만들고, 벽의 수는 단일 또는 이종 성분 촉매를 개발해 제어하고 있으나 이 방법은 지름이 매우 작은 촉매를 써야 하는 단점이 있다.
강 교수팀은 이 연구에서 나노튜브가 활성 금속 촉매에서만 성장한다는 점에 착안해 활성인 금속 '셸'에 비활성인 비금속 코어인 '드러난 코어'를 주입, 나노튜브가 '셸' 부분을 따라서만 성장하도록 제어했다.
'드러난 코어/셸' 촉매는 활성 금속인 셸 부분이 도넛과 같은 모양으로, 셸의 바깥지름을 크게 하면 나노튜브의 지름이 커지고, 코어를 작게 해 셸의 안쪽 지름이 작아지면 셸 부분의 폭이 넓어지면서 나노튜브 벽의 수도 늘어나게 된다.
강 교수는 "이 연구는 비활성인 비금속 코어와 활성을 가진 금속 셸을 가진 '드러난 코어/쉘' 합성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이를 통해 나노튜브의 직경과 벽의 수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음을 보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코어/셸 촉매를 응용하면 다양한 구조의 나노튜브를 만들 수 있다"며 "이 기술은 앞으로 고용량의 수소저장과 리튬이차전지, 이산화탄소 저장, 바이오센서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능성 나노튜브 제조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사진설명 : '드러난 코어/셸' 촉매. 활성 금속인 셸 부분에 탄소가 흡착돼 나노튜브가 성장하며 셸의 바깥지름을 크게 하면 나노튜브 지경이 커지고, 셸 부분의 폭이 커지면 나노튜브 벽의 수가 증가한다. >
강정구 교수님은 저희 고객입니다. ( 전기화학 임피던스 분석기 CompactStat 사용중)
번호 | 제목 | 날짜 |
---|---|---|
71 | “세계 태양광시장 3년 안에 활기 되찾을 것” 2009-01-20 HS_Tech | 2009-01-20 |
70 | 고효율 화합물반도체 태양전지 개발 2008-11-11 HS_Tech | 2008-11-11 |
69 | [고객소식] 한국학술진흥재단 2008년 우수성과사례 (박정희교수님) 2008-11-11 HS_Tech | 2008-11-11 |
68 | [고객소식] 8배 이상 오래가는 리튬이차전지 만든다 (조재필교수님) 2008-11-11 HS_Tech | 2008-11-11 |
» | [고객소식] KAIST 강정구 교수 "고효율 수소저장ㆍ리튬전지 등에 활용" 2008-11-11 HS_Tech | 2008-11-11 |
66 | 태양광 발전기로 온수ㆍ전기 동시 생산 2008-11-10 HS_Tech | 2008-11-10 |
65 | [고객소식] 차세대 '비실리콘 태양전지' 기술 주목 (류광선교수님) 2008-10-30 HS_Tech | 2008-10-30 |
64 | 차세대 전지시장에 ‘전운’ 2008-10-30 HS_Tech | 2008-10-30 |
63 | "염료감응 태양전지 5년내 시장빅뱅 올 것" 2008-10-30 HS_Tech | 2008-10-30 |
62 | [고객소식] 고려대 연구진, 세계 최고 효율 태양전지 개발 2008-10-30 HS_Tech | 2008-10-30 |
61 | [고객소식] 한양대, 연료감응전지 전자센터 개소 2008-10-30 HS_Tech | 2008-10-30 |
60 | 컬러입는 태양전지 뜨거운 각축전 2008-09-25 HS_Tech | 2008-09-25 |
59 | 경기도와 ‘플렉트로닉스-KPF社’ 투자협약체결 2008-09-25 HS_Tech | 2008-09-25 |
58 | NIMS, BN/Si 헤테로 다이오드 태양전지의 시작(試作)에 성공! 2008-09-25 HS_Tech | 2008-09-25 |
57 | 값싸고 만들기 쉬운 플라스틱 태양전지를 개발하는 데 성공 2008-09-25 HS_Tech | 2008-09-25 |
56 | 차세대 저가형 신재생 에너지 신기원 열어 2008-09-25 HS_Tech | 2008-09-25 |
55 | 美 과학자들 실리콘 이용, 태양 전지 효율성 높이는 방법 개발 2008-09-25 HS_Tech | 2008-09-25 |
54 | 제1회 염료감응태양전지(DSSC) 산업체 워크숍 및 간담회’ 2008-09-25 HS_Tech | 2008-09-25 |
53 | 프라운호퍼 연구소, 다중접합 태양전지의 경이적 광전변환효율 39.7% 달성 2008-09-24 HS_Tech | 2008-09-24 |
52 | 고효율 고분자태양전지 길 '연다' 2008-07-23 HS_Tech | 2008-07-23 |
HS Technologies
경기도 군포시 고산로 643번길12, 신안빌딩 2층 HS Tech
0505-288-6901
HS Technologies, Inc. 2005-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