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하 이화여대 교수(사진) 연구팀이 전기가 잘 통하는 탄소를 나노 크기로 만든 신소재를 이용해 차세대(염료감응형) 태양전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개발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보다 40% 정도 효율성을 높였다고 밝혔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식물의 광합성 원리를 응용한 것이다. 현재 상용화된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해 제작 방법이 쉽고 투명하게 만들 수 있어 건물 유리창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차세대 태양전지다.
김 교수팀은 고분자(분자량 10만개 이상)로 제조한 하이브리드 탄소나노소재를 태양전지의 한쪽 전극(광전극)에 붙여 전기를 잘 통하게 하면서도 경계면의 저항을 줄였다. 이를 통해 기존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보다 에너지 변환 효율을 높였다. 현재 일반적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효율은 10% 내외 수준이다.
김 교수는 "이번에 개발된 하이브리드 탄소나노소재는 태양전지뿐만 아니라 연료전지와 배터리의 핵심 구성 요소인 전극소재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심시보 기자]
HS Technologies
경기도 군포시 고산로 643번길12, 신안빌딩 2층 HS Tech
0505-288-6901
HS Technologies, Inc. 2005-2020